창덕궁-인정문, 인정전, 선정전 해설

창덕궁-인정문, 인정전, 선정전 해설

서가빈 /

2023-07-08

HERITAGE

조회수 188

  • 인정문은 창덕궁 정전인 인정전의 정문이다. 창덕궁 정문인 돈화문으로 들어와 오른쪽으로 꺾어 금천교를 건넌 뒤 진선문을 지나 왼쪽으로 돌면 보인다. 이는 광화문에서 근정문까지 일직선인 경복궁과 다르다. 경복궁은 예법에 따라 반듯하게 구획한 반면, 창덕궁은 자연 산세에 맞춰 지었기 때문이다. 이름 뜻은 ‘인정전의 문’으로 '어진(仁) 정치(政)를 바탕으로 훌륭한 정치를 실현하겠다'는 뚯이다. 건물은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로 왕위를 이어받는 의식이 거행되던 곳이다. 정전인 인정전과 함께 조선왕조 궁궐의 위엄과 격식을 가장 잘 간직하고 있는 건축물이다. This is the main gate of Injeongjeon, the main hall of Changdeokgung Palace. If you enter Donhwamun, the main gate of Changdeokgung Palace, turn right, cross Geumcheongyo Bridge, pass Jinseonmun Gate and turn left, you would face Injeongjeon. This is different from Gyeongbokgung, which a straight line from Gwanghwamun to Geunjeongmun.  This is because Gyeongbokgung Palace was divided neatly according to the etiquette, while Changdeokgung Palace was built according to the natural shape of the mountain. The meaning of the name is 'the gate of Injeongjeon', which means 'we will realize great politics based on benign politics'. The building measures 3 room at the front and 2 room at the side, and is where the ceremony of inheriting the throne was held. Along with Injeongjeon, the main hall, it is a building that best preserves the dignity and formality of the palaces of the Joseon Dynasty. *사진 직접 촬영

  • 창덕궁 인정전(昌德宮仁政殿)은 창덕궁의 정전으로 인정(仁政)'은 '어진정치'라는 뜻이다.  즉위식을 비롯하여 결혼식, 세자책봉식 그리고 문무백관의 하례식, 왕이 외국의 사신을 접견하는 등 공식적인 국가행사를 치르던 곳이다. 인정전의 넓은 마당은 조회가 있었던 뜰이란 뜻으로 조정(朝廷)이라고 부른다. 삼도 좌우에 늘어선 품계석은 문무백관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로  정1품에서 시작하여 정9품으로 끝나며 각각 동, 서로 12개씩 있다. 품계석에 맞추어 동편에는 문관, 서편에는 무관이 중앙을 향해 서는데, 문관은 동쪽에 위치하므로 동반, 무관은 서쪽에 위치하므로 서반이라 하였으며 이를 합쳐서 조선시대의 상류 계급인 양반이 된다. Changdeokgung Injeongjeon (昌德宮仁政殿) is the main hall of Changdeokgung Palace.  It was the place where official state events were held, including coronation ceremonies, weddings, crown prince installation ceremonies, congratulatory ceremonies for civil and military officials, and the king's reception of foreign envoys. The wide yard of Injeongjeon is called the court, which means the courtyard where the assembly was held.  The rank stones lined up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hree provinces indicate the location of the civil and military officials, starting with Jeong 1 and ending with Jeong 9, with 12 each in the east and west. According to the rank stone, civil servants stand on the east side and military officers stand toward the center. Since the civil servants are located in the east, their companions and military officers are located in the west. *사진 직접 촬영

  • 인정전 안에는 정면에 임금님의 용상이 있고 그 뒤에는 나무로 만든 곡병과 곡병 뒤에는 일월오악도(日月五岳圖)라는 병풍이 있다. 병풍에는 음양을 뜻하는 해와 달이 있으며 이는 다시 왕과 왕비를 상징한다. 그 아래 다섯 개의 산봉우리는 우리나라의 동,서,남,북,중앙의 다섯 산을 가리키며 이는 국토를 의미한다. 이것은 임금이 중앙에서 사방을 다스리고, 음양의 이치에 따라 정치를 펼친다는 뜻을 담고 있기도 하다. Inside Injeongjeon, there is a dragon statue of the king in the front, a wooden gobyeong behind it, and a folding screen called Ilwolgoakdo (日月五岳圖) behind the gokbyeong. On the Ilwolgoakdo, there are the sun and the moon, which represent yin and yang, which in turn symbolize the king and queen.  The five mountain peaks below it point to the five mountains in the east, west, south, north, and center of our country, which means the country. This also contains the meaning that the king governs the four directions from the center and conducts politic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yin and yang. *사진 직접 촬영

  • '선정(宣政)’이란 ’정치와 교육을 널리 펼친다‘는 뜻이며, 선정전(宣政殿)은 임금의 공식 집무실인 편전(便殿)이다. 편전이란 임금과 신하가 정치를 논하고, 유교경전과 역사를 공부하는 곳을 말한다. 선정전에서 임금과 신하가 국사를 논할 때에는 사관이 임금의 좌우에서 회의내용을 기록했으며 이를 사초(史草)라고 한다. 사초를 토대로 선왕이 죽은 뒤 새로운 왕이 실록을 편찬하는데 이것이 현재의 조선왕조실록이다. ‘Seonjeong(宣政)’ means ‘wide spread of politics and education’, and Seonjeongjeon(宣政殿) is the official office of the king, Pyeonjeon(便殿).  Pyeonjeon is a place where kings and servants discuss politics and study Confucian scriptures and history. In Seonjeongjeon, when the king and his servants discussed state affairs, officials recorded the contents of the meeting from the left and right of the king.  Based on the records, after the death of the previous king, the new king compiles the annals, and this is the current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사진 직접 촬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