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덕궁 내전 1(희정당, 대조전, 성정각)

창덕궁 내전 1(희정당, 대조전, 성정각)

서가빈 /

2023-09-09

HERITAGE

조회수 145

  • 희정당 1 임금의 집무 공간이자, 임금이 하루 중 가장 많은 시간을 보냈던 희정당입니다. 임금은 이곳에서 자유롭게 신하를 접견하고 학문을 논했습니다. 인조와 숙종은 희정당에서 청나라 사신을 맞이하였고 정조는 여기서 성균관 시험 합격자들을 위한 연회를 베풀기도 했습니다 This is Huijeongdang, the king's office space and where he spent most of his time during the day. The king freely met with his subjects and discussed studies here. King Injo and Sukjong welcomed envoys from the Qing Dynasty at Huijeongdang, and King Jeongjo also held a banquet here for those who passed the Sungkyunkwan exam. *사진 : 직접촬영

  • 희정당 2 원래 이름은 숭문당이었으나 1496년(연산 2)에 희정당으로 이름을 바꾸었습니다. 원래의 편전인 선정전이 비좁아 침전이었던 희정당이 편전의 기능을 대신하게 되었습니다. 희정당은 화재로 네 번이나 소실되었습니다. 현재의 건물은 1917년 화재로 소실된 것을 1920년에 복구하면서 경복궁에 있던 강녕전을 옮겨 지었습니다. The original name was Sungmundang, but it was renamed Heejeongdang in 1496 (2nd year of King Yeonsan’s reign).  Seonjeonjeon, the original pyeonjeon, was cramped, so Huijeongdang, a sleeping quarters, took over the function of pyeonjeon. Huijeongdang was destroyed by fire four times. The current building was built by moving Gangnyeongjeon from Gyeongbokgung Palace in 1920 after it was restored in 1920 after being destroyed by fire in 1917. *사진: 직접 촬영

  • 대조전 대조전은 창덕궁의 정식 침전으로 희정당의 북쪽에 있습니다. 1917년 불타 없어진 터에 1920년에 경복궁의 침전인 교태전을 옮겨 지어 현재의 대조전이 되었습니다. 대조전을 중심으로 양옆 날개채와 뒤편의 경훈각 등이 내부에서 서로 통하도록 복도와 행각으로 연결했습니다. 내부는 서양식으로 개조하였으며, 왕실생활의 마지막 모습이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다. Daejojeon is the official residence of Changdeokgung Palace and is located to the north of Huijeongdang. In 1920, Gyotaejeon, the living quarters of Gyeongbokgung Palace, was moved to the site that burned down in 1917 and became the current Daejojeon. Centered around Daejojeon, the wings on both sides and Gyeonghungak at the back were connected by corridors and a haenggak. The interior has been remodeled in a Western style, and the last aspects of royal life have been relatively well preserved. * 사진1: 문화재청 국가유산포탈 * 사진2: 직접 촬영 (방문 시 공사중)

  • 성정각 궁궐의 동쪽, 동궁은 세자의 공간이며 성정각은 세자의 공부방입니다. 성정이란 사물의 도리를 깨달아 거짓을 버리고 바른 것을 취한다는 뜻입니다. 세자는 하루 세 차례 유교경전 수업을 받았고, 예법, 악기 연주, 활쏘기, 말타기, 붓글씨, 셈하기 등 여섯 가지 과목을 배웠으며, 세자의 교육은 시강원에서 담당했습니다. 이곳은 일제강점기에 내의원으로 이용되기도 했습니다. Seongjeonggak To the east of the palace, Donggung Palace is the crown prince's space, and Seongjeonggak is the crown prince's study room. Seongjeong means realizing the way of things, discarding lies and adopting what is right. The crown prince received classes on Confucian scriptures three times a day and learned six subjects, including etiquette, playing musical instruments, archery, horseback riding, calligraphy, and arithmetic. The crown prince's education was handled by Si Gangwon. This place was also used as a medical clinic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