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eunae Marketplace : Where the 3.1 non-violence independent movement was triggered

Aeunae Marketplace : Where the 3.1 non-violence independent movement was triggered

김준서 /

2022-03-12

HERITAGE

조회수 371

  • January 22, 1919. A rumor spread that King Gojong’s sudden death was due to the assassination committed by the Japanese colonists through food poisoning.

    This inflamed the fury of the people towards the Japanese colonists to its peak, and motivated religious groups and students to accelerate the preparations for a non-violent independence movement.

    The members of this independence movement consisted of 33 national representatives, including 15 religious Cheondogyo figures centered on Son Byung-hee, 16 Christian figures centered on Lee Seung-hoon, and 2 Buddhist figures centered on Han Yong-woon.

    They signed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nd decided March 1 to be the date of the gathering, which was two days before Emperor Gojong's funeral. About a 100 years ago from present day, Aeunae's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began with a roar of 4,000 people at the Aeunae Market in a village called Byeongcheon at noon on April 1st (March 1st of the lunar calendar) and spread across the country.


    1919년 1월 22일에 일본인이 독살했다는 풍문과 함께 고종이 갑자기 죽자 민족의 분노는 극에 달하였고 종교단체와 학생들은 독립운동 준비에 박차를 가하였다.

    손병희를 중심으로 한 천도교계 인사 15명 , 이승훈을 중심으로 한 기독교계 인사 16명 , 한용운을 중심으로 한 불교계 인사 2명 등 민족대표 33인을 구성하고 독립선언서에 서명하였으며 고종의 장례일인 3월 3일 전에 사람들이 모일것을 예상하고 3월 1일을 거사일로 결정하였다.

    100년 전 아우내의 만세 운동은 3월 31일 매봉산의 봉화를 신호로 4월 1일(음력 3월 1일) 정오 병천 아우내 장터에서 4천여명 군중의 함성으로 시작되어 전국으로 퍼져 나갔다.

  • The March 1st Movement, triggered by the unauthorized political power that Japan was illegally wielding on Korea which trampled on the integrity of the nation after the Gyeongsul government in 1910, the tyranny of the Japanese colonists, and the suspicious death of Emperor Gojong, started with a massive roar of 4,000 people at the Aunae (Byeongcheon) marketplace.

    When the school was closed, a girl called Yu Gwan-soon carried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on March 13 and came down to her hometown of Byeongcheon, explaining the situation of Gyeongseong to his father, Yoo Joong-kwon and uncle Yoo Joong-moo.

    In order to evade Japanese surveillance, Yu Gwan-soon wore towels on her head to disguise like a female merchant and visited schools and churches in Byeongcheon, Mokcheon, Cheonan, Anseong, Jincheon, and Cheongju to announce her residence plan.

    And on the evening of March 31, a day before April 1 (March 1st of the lunar calendar), a torch rose high on Maebongsan Mountain.

    This torch marked the start of the march. Flames rose from the seven mountains around Maebongsan Mountain, and beacon fires burned in 24 locations nationwide.


    1910년 경술국치 이후 9년 일제의 무단정치와 폭정, 민족의 고결성을 짓밟는 고종 황제 시해 사건으로 촉발된 3.1만세운동은 경성과 지방을 잇는 교통 가교지였던 아우내(병천) 장터에서 4000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만세의 함성으로 타올랐다.

    유관순은 학교가 폐쇄되자, 3월13일 독립선언서를 휴대하고 고향 병천으로 내려와 먼저 부친 유중권과 숙부 유중무에게 경성의 상황을 설명하였다.

    유관순은 일제의 감시를 피하기 위해 부녀자처럼 머리에 수건을 쓰고 다니면서 병천, 목천, 천안, 안성, 진천, 청주 등지의 학교와 교회 등을 찾아가서 거사계획을 알렸다.

    그리고 거사일로 정한 4월 1일(음력 3월 1일)의 하루 전인 3월 31일 저녁 매봉산에 횃불이 높이 올랐다.

    이 횃불이 거사의 신호였다. 매봉산을 중심으로 일곱 개의 산에서 불길이 솟아올랐으며, 전국적으로 모두 24개소에서 일제히 봉화가 타올랐다.

  • To be at the 5-day market on April 1, people began to gather early in the morning, and more than 3,000 people gathered in an instant. Around 1 p.m., the number increased to about 4,000.

    Yu Gwan-soon took this opportunity to hand out the prepared Taegeukgi to the residents and appeal for the legitimacy of independence, advocating the independence of Joseon.

    In the meantime, her colleague Kim Gu-eung went on a national independence march after reading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round 2 o'clock, Japanese policemen with bayonets appeared in trucks and fired horror bullets and urged them to disband.

    However, when there was no sign of being dispersed, they began to shoot the non-violently protesting people to death. When Kim Gu-eung rolled up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nd took the lead in opposing Japanese imperialism, the Japanese police fired a gun at Kim Gu-eung and crushed Kim Gu-eung's head, killing her breath on the spot.

    At this time, Kim Gu-eung was 32 years old. This incident intriguing the people’s hatred against the Japanese colonists even more, the roar of hurrah burned even more.

    There were 19 people who died there, including Yu Gwan-soon's father, Yoo Joong-kwon, and his mother, Lee So-je. In addition, many participants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including Yu Gwan-soon were injured, arrested and imprisoned.

    Yu Gwan-soon was identified as the mastermind, and was detained for 10 days in the small chambers of the Byeongcheon Kindergarten and was put in to trial in the Court of Gongju.

    There, she was sentenced to five years in prison, but was transferred to Seodaemun Prison after appealing.

    Even in prison, Yoo Guan soon never forgot about the nation's independence movement even for a moment, despite all the sufferings she received from torture.

    On September 28, 1920, she eventually died in prison due to the aftermath of Japan's harsh torture.


    4월 1일 5일장을 맞아 아우내 장터에는 이른 아침부터 사람들이 모여들기 시작하여 순식간에 3000명이 넘는 군중이 모였다.

    오후 1시쯤에는 4000여 명으로 불어났다.

    유관순은 준비한 태극기를 주민들에게 나눠주며 독립의 당위성을 호소하고, 조선독립만세를 선창하였고, 김구응 선생이 독립선언서를 낭독한 뒤 만세행진에 나섰다.

    2시쯤 총검을 든 헌병들이 트럭을 타고 나타나 공포탄을 쏘며 해산을 종용하였지만 흩어질 기미가 보이지 않자 사람을 향해 총을 쏘기 시작했다.

    김구응 선생이 독립선언서를 말아 쥐고 앞장서서 나아가며 일제에 대항하자 일본 경찰은 김구응을 향하여 총을 쏘고 쓰러진 김구응의 머리를 총검으로 짓이겨 그 자리에서 숨이 끊어졌다.

    이 때 김구응 선생의 나이 32세였다. 이 사건이 도화선이 되어 만세의 함성은 더욱 거세게 타올랐다, 이 날 그 곳에서 죽은 사람이 유관순의 부친 유중권과 모친 이소제를 비롯하여 19명이었으며, 유관순을 포함한 많은 만세운동 참가자들이 부상당하고, 체포 투옥되었다.

    유관순은 주모자로 지목되어 병천 유치소에 10일간 구금되었다가 공주법원에서 재판을 받고 5년 형을 선고받았지만 항소하여 서대문형무소로 이송되었다.

    교도소 안에서도 시위 계획을 세워 다시 발각되어 혹독한 고문으로 고충을 받으면서도 나라의 독립운동에는 잠시라도 잊은적이 없었다는 말은 지금 우리에게는 큰 교훈이 되고 있습니다.

    일제의 모진고문 후유증으로 1920년 9월 28일 결국 감옥 에서 옥사를 하였다.

  • The Aunae Marketplace Independence Movement remains in the hearts of the citizens of Cheonan as well as the Korean people to this day.

    Accordingly, the entire nation collected donations to create the Independence Hall, which was established in Mokcheon-eup, Cheonan-si in 1987, the remains of patriotic martyrs in Cheonan, and the independent historic site of the Aunae March 1st Movement.

    The Memorial Hall for Yu Gwan-sun is Chungcheongnam-do Monument No. 58, which was built in 1972 to commemorate the patriotic spirit of Yu Gwan-sun and to commemorate the shining spirit of the Aunae Independence Movement. In addition, on March 1, 2019, to mark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March 1st Movement, the government added the highest grade, the Order of Merit of the Republic of Korea, along with the first grade of the Order of Merit.

    This year, Cheonan-si, Chungcheongnam-do, held the 2022 Digital Ontact Aunae Beacon Fire Festival to mark the 103rd anniversary of the March 1st Movement.

    At this event, a reading of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 theme performance, a 3.1 singing chorus, a torch ignition, three cheers, and a parade of patriotic martyrs were held.

    Cheonan, Chungcheongnam-do, is the birthplace of the Aunae Independence Movement, and reflects on the meaning of the day when the people willingly fought for Korean independence.

    We should not forget the sound of independence wishes that martyrs Yu Gwan-soon and her colleagues shouted out loud at the Aunae Market in Cheonan.

    The March 1st Movement in Cheonan was also a national anti-Japanese movement involving not only intellectuals and students but also farmers and workers, and later resulted in the establishment of a temporary government in Korea to lead the independence movement uniformly.

    If we look back on the spirit of the March 1st Movement and gather strength and wisdom, we shall overcome the difficult situations caused by COVID-19 too.


    아우내 장터 만세 운동은 오늘날까지도 천안 시민은 물론 대한민국 국민들의 가슴에 남아 있다.

    이에 전 국민이 성금을 모아 1987년 천안시 목천읍에 세운 독립 기념관을 비롯하여 천안 유관순 열사 유적, 아우내 3·1 운동 독립 사적지 등을 조성하였다.

    유관순열사 추모각은 충청남도 기념물 제58호로서, 유관순열사의 애국정신을 추모하고 아우내 독립만세운동의 빛나는 얼을 기리기 위하여 1972년에 건립되었다, 또, 2019.3.1. 정부에서는 3.1운동 100주년을 맞이하여 유관순 열사에게 서훈 1등급 추서와 함께 최고등급인 ''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을 추가하였다.

    올해는 충남 천안시에서 3.1운동 103주년을 맞아 ‘2022 디지털 온택트 아우내봉화제’를 열었다.

    이 행사에서는 기미독립선언서 낭독, 주제공연, 3.1절 노래합창, 횃불점화, 만세삼창, 열사의거리 행진을 펼쳤다.

    충청남도 천안은 호서지방 최대의 독립만세운동이었던 아우내 만세운동의 발생지이며, 자주 독립을 위하여 목숨 바쳐 싸웠던 그날의 의미를 되새기고 있다.

    천안의 아우내 장터에서 유관순 열사와 애국선열들이 목이 터져라 외쳤던 독립 염원의 소리를 우리가 잊지 않아야한다.

    천안 지역의 3·1 운동도 지식인과 학생뿐만 아니라 농민, 노동자 등 다양한 계층의 민중이 참여한 전국민적인 항일 운동이었으며, 이후 독립운동을 통일적으로 이끌고자 대한민국 임시 정부를 수립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3.1운동의 정신을 되돌아보고 힘과 지혜를 모은다면 코로나19 등으로 인한 어려운 사태를 함께 극복해낼 것이다.



    [출처] [한국상공인신문] 천안 독립기념관, 유관순 3.1운동 현장 아우네장터 가는법은?|작성자 KCN한국상공인신문

    [출처] 3.1운동 100주년 기념 천안이 갖는 독립만세 운동의 의미|작성자 소림붕어

    [네이버 지식백과] 아우내 장터 만세 운동 [아우내 場터 萬歲 運動]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출처 : 가스펠투데이(http://www.gospeltoday.co.kr) [네이버 지식백과] 3·1 운동 [三一運動]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